이건 좀 아니잖아

생필품 가격 1년 새 평균 9% 상승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낙수
댓글 0건 조회 376회 작성일 24-04-01 02:56

본문

소비자원은 생활필수품 가격이 전체적으로는 평균 1.5% 오르는 데 그쳤지만, 가격이 오른 상품의 평균 상승률만 떼어 놓고 보면 무려 9%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. 

품목별로 보면 곡물가공품 54개 상품 가운데 28개가 지난해보다 더 비싸졌습니다. 

시리얼, 즉석 덮밥, 소면, 밀가루, 부침가루 등의 가격이 많이 올랐다. 28개 제품 평균 상승률은 4.4%였습니다. 

과자·빙과류는 24개 상품 중 17개, 수산물 가공품은 11개 중 8개, 양념·소스류는 38개 중 27개의 판매가가 상승했습니다.  

가격이 오른 상품의 평균 상승률은 과자·빙과류 7.1%, 수산물 가공품 9.1%, 양념·소스류 9.8%였습니다. 

양념·소스류에서는 설탕·소금과 같은 필수 조미료 판매가가 지난해보다 10∼20%나 올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웠습니다.

대표적으로 백설 자일로스 설탕(1㎏)은 유통채널 판매가가 지난해 평균 3천667원에서 올해는 4천624원으로 26.1% 올랐습니다. 

청정원 미원 맛소금(500g)도 평균 2천227원에서 2천766원으로 24.2% 상승했습니다.

일반 생활용품으로 분류되는 가사·위생용품은 77개 중 45개 판매가가 올랐는데, 평균 상승률은 8.8%였습니다. 

마스크와 비누, 생리대, 종이 기저귀 등 가격이 특히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 

수산물의 경우 고등어와 오징어는 판매가가 하향 안정세를 보인 반면에 갈치 가격은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 

갈치 냉동(100g)은 2천910원에서 3천227원으로 10.9%, 갈치 생물(100g)은 4천63원에서 4천875원으로 20.0% 각각 상승했습니다. 

20개 상품 가운데 9개 판매가가 오른 채소류도 상품별로 가격 편차가 심했습니다.
 
흙대파(500∼800g)의 이달 평균 판매가는 5천565원으로 지난해 3월 가격(3천666원)보다 51.8% 비싸게 팔리고 있었습니다. 

상승률은 조사 대상 306개 제품 중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

애호박(2천521→3천211원·27.4%↑)과 적상추(100g 기준·1천843→2천41원·10.7%↑)도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.
  
반면에 흙쪽파(48.8%↓), 시금치(250∼400g·25.4%↓), 밤고구마(100g·18.9%↓), 양파(1.5㎏·16.2%↓), 배추(1.5∼2㎏·15.9%↓) 등은 판매가가 많이 내려갔습니다. 

이외에 계란, 닭고기, 돼지고기, 쇠고기 등이 포함된 축산물은 하림 참진 토송닭백숙(1.05㎏·23.5%↑)만 눈에 띄는 상승률을 보였을 뿐 나머지 품목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나타냈습니다.  

추천0 비추천0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